21

21

21

잠재 고객의 마음을 열 한문장, LMF를 알고 계신가요?

잠재 고객의 마음을 열 한문장, LMF를 알고 계신가요?

잠재 고객의 마음을 열 한문장, LMF를 알고 계신가요?

같은 제품을 설명하더라도 어떤 말을 쓰느냐에 따라 고객의 반응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PM…

같은 제품을 설명하더라도 어떤 말을 쓰느냐에 따라 고객의 반응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PM…

같은 제품을 설명하더라도 어떤 말을 쓰느냐에 따라 고객의 반응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PM…

2024. 11. 13

2024. 11. 13

안녕하세요, 구독자님!
격주 수요일, 마케팅과 세일즈 인사이트를 전해드리는 팀 리캐치입니다.

지난 주 화요일, 리캐치와 기업가정신 플랫폼 MARU가 함께한 세미나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어요.총 70여 분께서 자리하시어 현장을 빛내주셨습니다.

특히 1부인 마케팅 세션에선 이런 주제에 대해 다뤘습니다.

  • 고객이 무엇을 느끼고 원하는지, 감정 동기를 기반으로한 메시지 전략 수립하기

  • 의도를 가진 방문자에게 목적에 맞춘 긍정적 경험을 축적하기

리캐치와 마루가 함께 진행한 B2B 마케팅 세일즈 세미나의 현장 강연 사진이다.

바로 마케팅 메시지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야기였는데요.
마케팅 세션을 맡아주신 연사님의 비결을 직접 전해드리진 못하지만,

대신 오늘 뉴스레터를 통해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메시지
타겟 키워드 추출하는 법을소개해 드리도록 할게요.

1. 고객에게 통하는 한마디, LMF 찾는 법
2. 고객을 찾는 마케팅 키워드 추출하는 방법 5가지


고객에게 통하는 한마디, LMF 찾는 법

같은 제품을 설명하더라도 어떤 말을 쓰느냐에 따라
고객의 반응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마케팅 세일즈에서 중요한 LMF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는 아티클의 썸네일이다.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PMF, 시장 적합성을 찾기 위한 과정을 필수로 거칩니다.
그런데 언어적인 측면에서도 PMF가 필요하다는 걸 알고 계신가요?

PMF(Product Market Fit)가 제품을 통해 시장의 반응을 확인하는 행위라면,
LMF(Language Market Fit)는 언어를 통해 시장을 검증하고, 고객을 사로잡기 위한 말을 의미해요.

토스(Toss) 팀 역시 LMF를 통해 초기에 시장을 검증했다고 해요.

✅ ‘송금을 간편하게, 10초만에 송금하는 서비스’
  • 토스 팀은 제품이 없는 초기 단계에서 시장의 필요를 검증하기 위해 ‘송금을 간편하게, 10초만에 송금하는 서비스’라는 서비스 소개 문구를 페이스북 광고로 태웠다고 해요. 즉 PMF 이전, LMF를 통해서 시장의 가설을 검증한 것이죠. <유난한 도전>에 의하면 이 한 문장으로 토스 팀은 “단 이틀 만에 1만원으로 ‘사람들은 간편한 송금 서비스를 원한다’는 가설을 검증하는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그 한 문장이 바로 시장이 반응하는 한 마디, 토스 팀의 LMF였던 것이죠.

제품이 아무리 좋아도, 설명하는 말이 어렵거나 지루하면 관심을 잃어버리게 되듯, 같은 제품을 설명하더라도 어떤 말을 쓰느냐에 따라 고객의 반응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특히 B2B 영업에서는 우리가 만난 구매 담당자가 다시 내부의 동료들에게 제품과 미팅의 내용 설명하고 구매를 설득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우리가 명확한 LMF를 정의하고, 그 내용을 미팅에서도 전달했다면 그 과정이 훨씬 수월해져요. LMF는 프로덕트 못지 않게 고객의 마음을 열 열쇠가 되기도 합니다.

팀 리캐치도 LMF를 고객과 만나는 모든 곳에 적용하고, 홈페이지, 블로그, 서비스 소개서, 광고 등 고객이 볼 수 있는 곳에 가장 최신의 버전을 반영하고 있어요.

고객의 인지를 만들고, 공감을 이끌고, 문제를 해결하는 메시지인 LMF.
LMF를 찾는 구체적인 방법과 사례는 본문 아티클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고객을 찾는 마케팅 키워드 추출하는 법 5가지

적합한 키워드를 찾는 것은 곧 적합한 고객에게 도달하는 길입니다.
키워드 추출 시 알아야 할 지표와 추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마케팅 키워드 추출하는 법에 대해 설명하는 아티클의 썸네일로, 'Keyword'라고 쓰여있다.

LMF로 시장 검증에 성공하고, 고객의 마음을 울리는 메시지를 만들었다면
고객을 찾고, 또 찾아오게 할 수 있도록 타겟 키워드를 선정해야 할 차례입니다.

중요한 키워드를 선정하면 우리가 전할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거나
마케팅 전략을 고도화할 수 있게 돼요. 대표적인 키워드 추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경쟁사가 보유한 키워드 찾기
SEMrush, Ahrefs, Moz와 같은 전문 SEO 도구를 활용하면 우리의 경쟁사 도메인으로 유입되고 있는 키워드로는 어떤 것들이 있고, 실제로 해당 키워드를 통해 유입되는 트래픽은 얼마인지 알 수 있어요.

2️⃣ 경쟁사가 보유한 키워드 찾기
실제 인물 중에서 우리의 ICP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선정해 그리고 그 사람이 평소에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인터뷰나 ICP가 주로 활동하는 SNS를 활용해 볼 수 있어요.

3️⃣ 자사 제품 관련 키워드 발굴하기
‘등잔 밑이 가장 어둡다’는 말처럼, 우리도 모르게 이미 제품과 서비스의 UXUI에서 쓰고 있는 단어를 리스트업해 볼 수 있어요. 웹사이트, 제품 설명서, 마케팅 자료나 기술 용어들을 정리하며 추출합니다.

각 방법은 서로 다른 관점에서 키워드를 발굴하기 때문에, 여러 방법을 함께 이용하면 균형 잡힌 키워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어요. 리스트를 뽑았다면, 이후 마케팅 콘텐츠나 전략을 기획할 때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각 방법에서 활용하면 좋은 툴과 예시들은 본문에 함께 설명해뒀어요.
키워드 추출법 총 5가지를 포함한 자세한 내용은 버튼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우리의 메시지와 키워드가 정확하게 정의되어 있을수록, 팀이 같은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게 되기에
마케팅 팀 뿐만 아니라 고객과 직접 만나는 세일즈 역시 길을 덜 헤맬 수 있어요.

오늘 소개드린 두 가지의 아티클을 통해 고객의 마음을 열고,
고객의 의도에 맞는 우리만의 언어를 찾아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럼 앞으로도 구독자님께서 헤메지 않는 비즈니스를 만들어 나가실 수 있도록,
팀 리캐치는 다음 뉴스레터로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

리캐치 드림

B

hello@recatch.cc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25 리스트빌딩 지하2층
수신거부 Unsubscribe

hello@recatch.cc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25 리스트빌딩 지하2층
수신거부 Unsubscribe